★고라 자손의 시편★(시42:11) 내 혼아! 어찌하여 낙심하느냐? 어찌하여 속에서 불안해하느냐? 하나님을 바라라. 나는 여전히 찬양하리, 내 얼굴의 구원이시며 내 하나님이신 분을.★고라는 모세와 하나님께 대한 반역에서 주도자였습니다(민26장). 약 470년 후, 신언자 사무엘과 노래하는 자 헤만과 다른 몇몇 시편 기자들이 다윗 시대에 배역한 고라 자손에게서 나왔습니다(대상6:31~39). 심지어 반역을 주도한 자들의 자손들까지도 그들의 거룩한 글로 하나님을 찬양하는 경건한 시편 기자들이 되었으며, 그 거룩한 글들은 대대로 존재하는 기록이 되었습니다. 이 어떠한 은혜인지요! 고라 자손들이 성경의 일부가 된 글들을 썼다는 것은 경이로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들은 또한 그들이 하나님께 반역했던 고라 자손이라는 것을 신실하게 사람들에게 말했습니다. 이것은 모든 시편들이 하나님의 무한하신 은혜에 근거하여 쓰였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고라 자손들은 그렇게 막중한 죄인이요 반역자인 고라의 후손들이었지만, 하나님을 찬양하는 시편들을 쓴 거룩한 사람들이 되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고라 자손과 같습니다. 어떤 의미에서 우리는 여전히 가련한 죄인들이고 반역자들이지만, 우리와 같은 자들도 신성한 말씀을 말하는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출처 : 삶을 가꿔 주는 선물
http://emanna.chch.kr
★한 새사람★(엡2:14~15) 왜냐하면 그분께서 우리의 화평이시기 때문입니다. 그분께서 이 둘을 하나로 만드셨고, 적대감 곧 중간에 막힌 담을 허물어뜨리셨으며, 규례들로 된 계명의 율법을 자기 육체 안에서 없애 버리셨습니다. 이것은 이 둘을 그분 자신 안에서 한 새사람으로 창조하시어 화평을 이루시려는 것이며,★대부분의 믿는 이들은 교회가 에클레시아(헬라어), 즉 하나님에게 부르심 받아 나온 사람들의 모임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형제회는 교회의 이런 방면을 강조하여 "에클레시아"라는 헬라어를 정확한 표현인 "회중"이라고 번역하였습니다. 교회에 대해 다소 전진된 개념은 교회가 하나님의 권속이며 가족이라는 것입니다. 교회에 대한 더 높은 이해는 교회가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것을 보는 것입니다. 교회에 대한 가장 높은 이해는 교회가 한 새사람이라는 것입니다. 교회에 대한 이 네 가지 개념은 유치원, 초등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와 같은 교육제도의 네 단계와 같습니다. 우리는 회중이라는 교회의 유치원 수준에서, 한 새사람이라는 대학교의 수준까지 진보해야 합니다. 회중, 즉 모임 가운데 있는 그리스도인들의 관계는 그다지 가깝지 않습니다. 가족의 식구들 사이의 관계는 더욱 가깝고 친밀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하나님의 가족의 구성원일 뿐 아니라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들이며, 지체들 사이의 관계는 더욱 가까운 것입니다. 회중과 가족 안에 있는 사람들은 서로 떨어질 수 있지만, 몸의 지체들은 절단되지 않는 한 떨어질 수 없습니다. 몸이 어디로 가든지 지체들도 함께 가야 합니다.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러나 한 새사람 안에서의 교통은 몸 안에서보다 더 친밀합니다. 한 새사람은 단체적이며 우주적입니다. 많은 믿는 이들이 있지만, 우주 안에는 한 새사람만이 있습니다. 모든 믿는 이들은 이 단체적이고 우주적인 한 새사람의 구성요소들입니다. (출처 : 하단 영문 참조)
http://emanna.chch.kr
★The One New Man★Ephesians 2:14 For He Himself is our peace, He who has made both [Jews and Gentiles] one and has broken down the middle wall of partition, the enmity, (15) Abolishing in His flesh the law of the commandments in ordinances, that He might create the two in Himself into one new man, so making peace★Most believers recognize that the church is the ecclesia [Greek], the gathering or assembling of God's called people. The Brethren emphasized this aspect of the church and even translated the Greek word ecclesia into “assembly,” which is an accurate rendering. A somewhat more advanced concept of the church is that the church is God's household or family. An even higher understanding of the church is to see that the church is the Body of Christ. The highest understanding of the church is that the church is the one new man. These four concepts of the church are like four levels in the educational system: kindergarten, elementary, high school, and college. We need to advance from the kindergarten level of the church, that of the assembly, to the college level, that of the one new man. The relationship among Christians in an assembly, a gathering, is not very close. It is much closer and more intimate among those in the family, the household. However, we are not only members of God's family, but also members of the Body of Christ, where the relationship among the members is still closer. Those in the assembly and the members of a family may be separated from one another, but the members of the Body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Body unless they are amputated. Wherever the Body goes, the members must go also; they have no choice. However, in the one new man the fellowship is even more intimate than in the Body. The new man is corporate and universal. There are many believers, but there is only one new man in the universe. All the believers are components of this one corporate and universal new man.
http://emanna.chch.kr